Rainbow
웹 호환성(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 하는 법, 브라우저 별 CSS 적용하기 본문
웹 호환성 테스트
QA팀 : 사이트 완성 후 -> 기획 -> 디자인 -> 퍼블리싱 -> 개발
- 모든 것들이 잘 이루어졌는지 기간 내에 QA팀이 테스트한다.
- 다양한 브라우저 버전 정보를 열어보고 환경에 맞춰서 각각 테스트한다.
- 회사에서는 모든 브라우저 정보, 버전을 테스트하라고 직접 환경을 제공해 주지 않는다,
- 우리가 직접 할 수 있는 만큼 호환성 테스트를 한다.
- 나중에 오픈을 한 뒤 테스트 기간 내에 오류들은 그때그때 수정한다.
사이트 호환성 기준
- 기획, 파트에서 정한다 , 고객사에서 별도 요청
- 파이어 폭스, 크롬 자동 업데이트
- 인터넷 익스플로러 window os 버전에 따라 업데이트
- 정품, 가품 구분한다.
- 사용자들이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window10 이상을 맞춰준다.
- -webkit 사파리, 크롬 지원 / -MOZ 파이어 폭스를 지원
사이트 호환성 테스트 기준
- 화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중요하다.
- 눈에 띄게 틀어진 부분은 수정해 준다.
CSS핵 : 호환성을 하면서 특정 브라우저에만 입력이 되게 한다.
잘못된 방식으로 표준코드를 썼을 때
style핵 : 브라우저 전용으로만 CSS 스타일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 CSS 내의 삽입, CSS 파일 별도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브라우저별 CSS 적용하기
Edge
@supports(ms-img-align:auto){
edge전용
}
IE10 ~ IE11
@media screen and(-ms-height-contrast:active), (-ms-height-contrast:none){
header(border-bottom: 10px solid orange;)
}
IE10 ~ IE11 브라우저
<script>
if (/*@cc_on!@/false){
document.documentlement.ClassName+='ie10';
}
</script>
-문서에 클래스명 ie10을 적용한다.
IE9
-인터넷 익스플로러 9 전용 css파일을 만든다
- <!--[if IE9]><link rel="stylesheet" href='ie9.css' type="text/css"/><! [endif];--> 표기한다.
- css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 @charset "utf-8";
CSS document
크롬
- @media screen and(-webkit-min-device-pixel-ratio:0){
header(border-bottom:10px solid orange;)
}
파이어 폭스
@-moz-document url-prefix(){
header(border-bottom:1px solid red;)
}
웹 호환성 체크 시
-웹 표준과 브라우저 성격에 맞춰서 작성
- IE8 ~ IE9 특정한 애니메이션과 특정한 Css 적용 안 됨
- 오류가 될만한 것들 예측해서 잘 지켜준다.
- style핵 또는 조건문을 써서 브라우저 따로 적용 안 해도 됨
- 브라우저별로 만들어서 한 번에 호환성 체크
'web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M네이밍 컨벤션 (0) | 2023.06.12 |
---|---|
float 속성 clear로 해제하기 (0) | 2022.07.29 |
mouseleave mouseenter 차이 (0) | 2021.10.24 |
white-space 속성값 (0) | 2021.10.24 |
CSS em, rem 차이 (0) | 202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