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9)
Rainbow
객체 - 객체는 함수라는 기반 위에 존재 - 객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 중 하나가 ' 정리 정돈의 수단 ' 변수나 함수 같은 코드가 하나의 페이지에 아주 길어지다 보면, 그것을 정리하기 위해 '객체'를 쓴다 - 함수의 이름을 지정할 때 set을 붙여서 많이 쓴다 기존의 코드를 함수화 시키는 의미 - 코드가 나타내는 의미가 조금 명확할 때는 함수화 안 시켜도 무방하지만 - 한 줄이라도 그 의미가 조금 불명확하거나 시간이 지나 무슨 뜻인지 파악하기 어려울 때 - 함수를 통해서 그 로직의 '이름'을 주어 알기 쉽게 할 수 있다. 동일한 함수를 만들면 아래에 있는 함수가 위의 함수를 덮어 씌워 버린다. - 새로 만든 함수의 이름이 기존에 존재하는 함수이름 인지 파악하기 어려워진다(코드가 아주 길 때) ..

함수가 필요한 이유!! 1. nightDayhandler(self) -> 함수 안에 있는 로직을 실행시키고 싶을 때 함수 이름 지정 2. 동일한 함수에 중복된 속성이 동시에 바뀐다 3. 유지보수가 쉬워짐 4. 프로그래밍에 나오는 거의 대부분 문법과 기능들을 중복되는 코드를 줄이기 위해서 만든 것 5. 코드가 한 줄로 줄어든다면 간결해지고 가독성이 좋아진다 ↓ 함수의 활용 소스코드 예시 1. function nightDayhandler(self) - slelf라는 매개변수를 만들고 함수 안에 동일하게 넣어준다 2. nightDayhandler(this) - this는 input 태그를 가리킨다 - this 를 사용하는 이유는 함수안에서 self 라는 변수를 하나만 사용해도 this가 가르키는 input 태..

함수 기본 문법 1. two(){ } 함수를 선언한 후 중괄호 안에 document.write( ) 출력한다 2. 2-1 2-2 는 two() 함수를 이용해서 호출한다 ↓ 한 줄 요약 : 함수를 선언 / 함수를 호출한다 결과 Parameter(매개변수)와 Argument(인자) 1. onePlusOne(){} 함수를 선언한다 - document.write(1 + 1 + ' ') 중괄호 안에 입력받고 - onePlusOne() 함수가 호출되고 " 2 " 출력된다 2. sum(left, right) () 매개변수를 만든다 document.write(left+right + ' '); -sum 이란 함수가 만들어져 있다고 한다면 left와 right를 더한 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함수이다 3. sumColo..

소스코드 예시 버튼 클릭하면 링크주소 밝은 컬러 or 어두운 컬러 주기 결과 1. f12를 누르고 console창에서 다음 코드들을 확인한다 document.querySelectorAll( ) 지정된 실렉터에 일치하는 element들을 list로 반환한다 var a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a'); 모든 a 태그를 가져온다 var i =0; 카운트 작성 2. while(i < alist.length ){ alist의 개수가 작은 동안 반복한다 alist[i].style.color = 'blue'; i = i + 1 } 반복문이 실행될때 a태그를 하나씩 가져온다 총 정리 1. document.querySelector('a') 를 입력해 보시면 가장 위에 있는 web을 표시..

소스코드 예시 배열변수 활용 1. coworkers 배열 변수에 각각의 데이터를 담는다 2. document.wrtite('coworkers [i]') 변수를 가져옵니다 coworkers [i] 변수에 0번째에 있는 egoing 출력된다 3. var i = 0; 카운트를 사용한다 4. var i =0; while(i < 4 (반복 원하는 수){ i = i + 1; } i + 1 이 반복되어 0에 + @되고 원하는 수에 도달하면 속에 항목이 출력된다 배열 length속성 활용 소스코드 예시 1. coworkers.length는 배열 안에 index의 개수를 가져온다 2. a태그 내에 링크 주소를 " " 쌍따옴표를 붙여 문자열로 묶어준다 3. i + 1 이 반복되어 0에 +@되고 원하는 수에 도달하면 fal..

소스코드 예시 결과문 배열을 이용하는 방법 4가지 1. 변수를 통해 배열을 저장할 수 있다 var coworkes = ["eging", "leezche"] 2. 배열 값을 가져오는 것 배열 안에 값을 arry [0]로 반환해서 가져온다 document.write(coworkes[0]); document.write(coworkes[1]); 3. 배열 개수 확인 -. length를 이용해 개수를 확인한다 - 4가 출력된다 count document.write(coworkes.length); 4. 배열 추가하기 - 배열 뒤에. push를 이용해 'duru' , 'taeho' 두 글자를 추가한다 add coworkes.push('duru'); coworkes.push('taeho'); * 최종 정리* - ar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