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9)
Rainbow
웹 표준이란 웹 표준이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합니다.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권고된 표준안에 따라 웹 사이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웹 표준을 통한 궁극적인 목적은 웹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장애인, 노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웹 사이트를 볼 수 있도록 웹 표준 기술 작업이 필요하며 웹 표준 준수는 웹 접근성 준수를 위한 핵심입니다. 웹 접근성이란 모든 사람들에게 평등한 웹 이용을 위해, 웹 접근성이 만들어졌다. 보통 사람들과 달리 웹 이용에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장애인, 노약자등)은 웹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를 위해 스크린 리더기 마우스스..
웹 호환성 테스트 QA팀 : 사이트 완성 후 -> 기획 -> 디자인 -> 퍼블리싱 -> 개발 - 모든 것들이 잘 이루어졌는지 기간 내에 QA팀이 테스트한다. - 다양한 브라우저 버전 정보를 열어보고 환경에 맞춰서 각각 테스트한다. - 회사에서는 모든 브라우저 정보, 버전을 테스트하라고 직접 환경을 제공해 주지 않는다, - 우리가 직접 할 수 있는 만큼 호환성 테스트를 한다. - 나중에 오픈을 한 뒤 테스트 기간 내에 오류들은 그때그때 수정한다. 사이트 호환성 기준 - 기획, 파트에서 정한다 , 고객사에서 별도 요청 - 파이어 폭스, 크롬 자동 업데이트 - 인터넷 익스플로러 window os 버전에 따라 업데이트 - 정품, 가품 구분한다. - 사용자들이 제대로 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window10 이상..
크로스 브라우징 :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동작을 한다. - 웹 페이지 제작 시 모든 브라우저가 깨지지 않고 의도한 대로 나오게 작업한다. -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동등하게 동작하는 것 Netscape (넷스케이프) - addEventListerener 사용 Ie (익스플로러) - attachEvent (어태치 이벤트) 사용 JavaScript - Navigator 객체 (2/3) : Navigator 객체 아래 명령을 통해 객체의 모든 프로퍼티를 열람할 수 있다. console.dir(navigator); appName : 웹 브라우저의 이름이다 IE 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크롬은 넷스케이프로 표시한다. appVersion : 브라우저의 버전을 의미한다. 필자의 현재 브라우저 정보 아래와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