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9)
Rainbow
객체(object) : 상태(속성)와 행동(메소드)을 함께 가리키는 단위 입니다. ex) 예를 들어 윈도우창 객체인데 높이, 넓이의 상태(속성)를 가지고 있고 새 창을 열거나 행동(메소드)을 가질 수 있습니다.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로 작성한 코드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 웹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의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 자바스크립트 공개 API를 사용할 수 있다 -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I란? - 어떤 정보를 다른사람이 손쉽게 가져갈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한 체계 ex)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 만든 API 정보를 이용하면 기상청의 날씨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 자바스크립트로 미리 구현해 놓은 기능을 묶어 놓은 것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 제공된 소스를 수정하거나 추가해서 만들 수 있게 준비한 일종의 틀 자바스크립트 소스 코드 querySelector() - JS 를 사용하다 보면 html의 클래스 이름 ..

웹 프로그램밍 - 웹 브라우저 관련된 프로그램을 작성 해주는 것을 가르킵니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 ->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 -> 요청을 처리해 알맞은 정보를 전달(서버) -> 클라이언트에 응답(pc, 노트북, 모바일 기기=클라이언트) html/css : 눈에 보이는 외관만을 담당 합니다 자바스크립트 : 웹 사이트에 움직임을 주는 것 입니다

method 속성 값에는 get/post 2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get : 데이터가 전송될 때 주소창에 파라미터 형태로 붙어 데이터가 노출됩니다. - 기본값으로 사용된다 -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제한이 있다. - 보안이 필요하지 않고 지정된 리소스에서 자원을 읽을 경우 post : 데이터가 전송될 때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 회원가입, 파일 업로드 시 많은 데이터를 넘길 때 사용한다. - 데이터 전송 양에 길이 제한이 없다. - 보안이 필요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경우 name - 폼의 이름을 지정한다 나중에 자바스크립트에서 쓸 일이 있으므로 지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value - 네임의정보가 갖고 가는 실제 값입니다. action - 우리가 작성한 값들 이름 나이 주소 등등을 보낼 페이지이..

1. CSS 선택자(Selector)란? 선택자란 말 그대로 선택을 해주는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요소들을 선택하여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먼저 CSS에서 스타일이 어떤 방식으로 정의되는지 알아봅시다. 1.1 Rule Set Rule Set(Rule)은 HTML페이지 안의 특정 요소들을 어떻게 렌더링(Rendering) 할 것인지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CSS 문장입니다. 스타일 규칙이라고도 불리는 이 문장은 스타일에 관한 규칙들을 집합처럼 나타냅니다. [그림 1] Rule Set 이런 문장들을 한군데에 모으면 스타일 시트(Style Sheet)를 이루게 되어, 많은 수의 스타일 규칙들을 관리하기 쉬워집니다. 1.2 선택자(Selector) 위쪽 [그림 1]을 다시 보시면, Rule Set..
SS의 자주 사용되는 속성 속성:값형태로 사용되며 여러 속성을 줄 때는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구글크롬의 개발자모드(f12)를 사용하면 쉽다. width , height width(가로길이), height(세로길이)를 의미한다. inline 요소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값의 단위 auto -> 기본값, 브라우저가 계산한 너비 px -> 픽셀 % -> 부모 요소에 상대적인 너비 initial -> 기본값으로 초기화 inherit -> 부모 요소로부터 상속 받은 값 margin, padding margin은 바깥쪽 여백, padding은 안쪽 여백을 의미한다. 두 속성 모두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width,height 속성과 마찬가지로 px, auto 등 값을 사용한다. ex ) margin:10p..